



“선생님.. 너무 힘이 들어서 죽고싶어요…”
너무 힘들어서 죽고싶은 생각이 든다고 말하거나
자해, 자살시도를 한 것을 알게 된다면 우리 교사들은 어떻게 이야기 해야할까요?
s-생명지기 교사편 교육의 목적
1. 청소년들에게 생명존중의 고귀한 정신 전달
2. 힘들어하는 친구들을 잘 선별할수있는 마음의 눈
3.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하는 학생수 감소


교사는 생명지킴이로서 어떤 것들을 할 수 있을까요?
[마음알기]
학생들에게 관심갖기, 학생과 대화하기
[이음하기]
학생 별 위험 수준에따라 전문기관에 연계하기


[마음알기] 학생들에게 관심갖기
[언어 변화] – 직접적인 표현과 간접적인 언어 변화 포착하기
[행동 변화] – 갑작스러운 행동변화, 자살/자해를 암시하는 행동
[상황 변화] – 가족,사회,상실경험,개인 등 상황 변화 주시하기


[마음알기] 학생과 대화하기
#열린질문 – “최근에 무슨일 있었니?,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줄 수 있니?”
#공감하기 –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, 감정 이해하기
#경청하기– 상황에 대한 조언 및 피드백 하지않기, 비판하지 않는 태도 갖기
#저항다루기– 기다리기, 잘 안풀린다면 사과하기, 다른 상담사 연결해주기


[이음하기] 전문기관에 연계하기
학생의 마음을 알기위해 언어, 행동, 상황의 변화를 관심가지고 대화를 통해 위험성을 확인하였다면 어떤 도움이 필요할지 전문기관에 연계해야합니다.
-> 교내 생명존중위원회를 통해 전문기관과 논의하기
-> 학생과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전문기관에 연계하기


본 컨텐츠는 S-생명지기 교사편을 요약한 내용이며 더 자세한 내용과
실제 사례 별 대처방법은http://edu.suicide.or.kr/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.
‘S-생명지기 기초편’, ‘S-생명지기 교사편’은 자살예방에 관심 있는 서울시민, 교사 등 누구나 쉽게 생명지킴이 활동전략을 배우고, 자살예방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.
단 15분만 집중하여, 학생들을 자살로부터 지켜주세요.